의료정보

전화 문의 안내

  • 02-334-8822
  • Fax. 02-334-8228
  • 평일 09:00 ~18:30
  • 4째주토요일 09:00 ~ 13: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 공휴일:휴진

칼럼

  • 의료정보
  • 칼럼

제목

치매 막는 '뇌 청소' 방법…관건은 멜라토닌



‘수면 호르몬’으로 잘 알려진 멜라토닌이 영양제 시장을 달구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업 베리파이드마켓리서치(verifiedmarketresearch)에 따르면 2022년 멜라토닌 약물의 전세계 시장 규모는 2조 1천억원(16억9천만달러)에 달했다. 연평균 성장률을 고려할 때 2030년에는 4조 7천억원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리나라는 합성 멜라토닌을 전문의약품으로 분류한다. 처방 전이 있어야만 살 수 있다는 뜻이다. 미국 등의 쇼핑몰에서 해외직구로 들여오는 것은 불법이다. 반가운 소식은 최근 ‘식물성 멜라토닌’이 개발, 출시되면서 국내 소비자들도 일반식품의 형태로 멜라토닌을 접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멜라토닌이 건강에 끼치는 영향과 식물성 멜라토닌의 특징을 알아본다.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치매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추산에 따르면 만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치매 유병률은 10.38%. 2050년에는 노인 6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치매의 발병 기전과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전체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의 경우 베타 아밀로이드(beta-amyloid)라는 단백질이 뇌에 과도하게 쌓여 발병하는 것으로 본다.전문가들은 치매를 예방하려면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에 주의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뇌의 노폐물이 원활히 배출되게 하는 ‘멜라토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치매 사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 뇌에 노폐물이 쌓이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출처: 클립아트코리아

뇌 속 치매물질 청소하는 ‘멜라토닌’뇌는 신체의 움직임, 생각, 느낌 등을 조율한다. 이러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뇌세포에 연료가 필요하다. 문제는 연료를 얻는 대사 과정에서 베타 아밀로이드와 같은 불필요한 찌꺼기가 생긴다는 점이다. 이 같은 대사 폐기물이 뇌에 쌓이면 신경세포가 손상돼 치매 같은 퇴행성 뇌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다행히 우리 몸은 뇌 청소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그 중심 역할을 하는 것이 '멜라토닌'이다. 멜라토닌은 뇌척수액을 통해 신경세포 사이사이로 들어가 베타 아밀로이드와 같은 독성 물질을 씻어낸다. 세척액 역할을 하는 것. 미국 연구팀의 실험 결과 고농도 멜라토닌을 섭취한 쥐는 림프관 내 베타 아밀로이드의 배출량이 300% 이상 증가했고, 뇌에 남아있던 베타 아밀로이드의 양이 20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멜라토닌은 뇌신경 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활성산소로부터 보호해 뇌의 노화를 억제하고, 뇌신경에 작용하는 여러 신경독소를 억제하는 등 다양한 기능으로 뇌의 퇴행을 막는다.멜라토닌이 부족한 현대인…멜라토닌 영양제가 도움멜라토닌은 뇌 건강뿐만 아니라 심장, 혈관, 간, 폐 등 다양한 기관의 건강과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호르몬이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수면 부족, 잦은 야근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멜라토닌 부족을 겪기 쉽다. 뇌가 노화하면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한다는 점에서 특히 노년층은 멜라토닌 결핍으로 인한 건강 이상에 주의해야 한다.멜라토닌을 충분히 확보하려면 잘 자야 한다. 멜라토닌은 해가 떨어진 뒤에 분비되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일반 성인의 적정 수면시간은 7~9시간이다. 낮에 자연광을 충분히 쬐는 것도 중요하다. 해를 받으며 생성된 세로토닌은 밤에 멜라토닌으로 전환된다.

멜라토닌은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체내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세포 손상을 막는다|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영양제 형태로 보충하는 것도 방법이다. 멜라토닌 영양제는 수면주기를 규칙적으로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잠들기 2시간 전, 같은 시간에 꾸준히 복용하길 권한다. 1일 적정 섭취량은 2~5mg으로 1 정당 함량을 확인하고 섭취해야 한다.멜라토닌은 전문의약품으로 의사 처방이 필요했으나 최근 ‘식물성’ 멜라토닌이 개발, 출시되며 건강식품으로 만나볼 수 있게 됐다. 식물성 멜라토닌은 쌀겨, 클로렐라, 자주 개나리 등의 천연 원료에서 추출해 기존의 합성 멜라토닌 대비 내성 및 잔류 화합물 우려가 적다는 평을 받는다.